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10년 뒤 동창회 필수 준비물이 마스크가 될 거란 말 아십니까? <br> <br>마스크를 쓰고 수업을 들어서 같은 반 친구 얼굴조차 제대로 모른다고 합니다. <br> <br>거기다 대면으로 했던 학교 행사까지 사라져서, 졸업할 때까지 맨 얼굴 한번 못 본 친구도 있다는데, 다행히 3년 만에 대면 졸업식이 부활했습니다. <br> <br>김예지 기자가 현장 카메라에 담았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교문 앞에서 파는 꽃다발, 오랜만에 보시죠. <br> <br>외부인 출입이 끊겼던 교정이 이렇게 다시 활기를 띠고 있는데요. <br> <br>3년 만에 열린 대면 졸업식 때문입니다. <br> <br>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.<br> <br>사람들로 가득 찬 강당, 가발에 선글라스로 한껏 꾸민 학생들이 춤을 춥니다.<br><br>코로나19 사태 이후 학교가 모처럼 문을 활짝 열었습니다. <br> <br>선생님은 한 명 한 명에게 졸업장을 나눠주며 축하 인사를 건넵니다. <br> <br>모두가 함께하는 3년 만의 첫 졸업식입니다. <br> <br>환호와 박수가 실내를 가득 메우며 축제장을 방불케 합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정답입니다! 큰 박수 부탁드립니다." <br> <br>아이들은 신이 났고, 학부모들은 아이 모습을 카메라에 담느라 바쁩니다. <br> <br>[신영초등학교 졸업생 대표] <br>"5학년 때는 코로나19가 심해서 많은 활동을 하지 못했지만 6학년 때는 점점 나아지면서 체육대회도 하고…"<br> <br>3년 전 입학식을 비대면으로 치러야 했던 중고등학생들에겐 이번 졸업식 의미가 남다릅니다. <br> <br>답답한 마스크를 쓴 채 힘들게 공부해야 했고, 축제나 수학여행은 엄두도 못 냈던 시간이 주마등처럼 스쳐갑니다. <br> <br>친구들과 얼굴을 마주하고 마지막 인사를 나눌 수 있어 다행입니다. <br> <br>[옥정진 / 창덕여자중학교 졸업생] <br>"코로나 때문에 등교를 하지 못했습니다. 친구들 얼굴도, 목소리도 모두 낯설었습니다. 평온한 일상의 소중함을 느끼게 된" <br> <br>밖에서 꽃을 파는 상인들도 모처럼 분주해졌습니다. <br> <br>[조도학 / 꽃가게 상인] <br>"가게에만 틀어박혀 있다가 나와서 하니까 좋죠. (지난해 매출 대비) 3배 이상 된다고 봐야죠." <br> <br>2월 중순 열리던 졸업식은 이제 옛말입니다.<br><br>12월과 1월, 종업식과 졸업식을 함께 하는 학교가 대부분입니다. <br> <br>졸업생들에게 상급학교 진학 준비 시간을 충분히 주기 위해섭니다. <br> <br>[김명건 / 제주 서귀포고등학교 졸업생] <br>노력한 만큼 결과가 나와서 이렇게 졸업식에 뿌듯한 마음으로 설 수 있었던 거 같습니다. <br> <br>코로나19의 긴 터널을 빠져나와 세상을 향한 큰 발걸음을 내딛는 학생들. <br> <br>새로운 출발을 힘차게 응원합니다. <br> <br>[김영운 / 수원 신영초등학교 교장] <br>졸업은 어찌 보면 또 하나의 시작입니다. 새로운 세계에 당당하게 도전하시기 바랍니다. <br> <br>[조선희 / 졸업생 학부모] <br>새로운 출발 해야 되니까 마음 다 잡고 졸업 축하해. 사랑해. <br> <br>현장카메라 김예지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이기상 채희재 김한익 <br>영상편집 구혜정